본문 바로가기
  • 글맛 글멋 나는 자소서를 지향합니다
누구도 가르쳐 주지 않는 자소서 핵심 키워드

<자소서 핵심 키워드> 자소서 핵심 소제목, 문제 해결 능력 (Feat. 피드백, 피드 포워드)

by 글맛글멋 2025. 3. 17.
반응형

문제는 조직이나 사회에서 항상 발생하는 디폴트입니다. 문제를 사전에 예측하고 예방하여 문제 발생이 없도록 해야 하나, 인간의 예측 능력은 그리 높지 않습니다. 더더구나, 변화의 속도가 급속히 일어나는 현재의 환경에서 정확한 전망이나 예측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어떻게 여하히 해결할 것인가?, 역시 기업의 지상과제입니다. 문제 해결 능력은 어느 조직에서도 가장 중요한 역량입니다. 문제는 항상 불시에 발생하고, 그 문제를 어떻게 여하히 해결하는 가, 이것이 바로 믕력입니다. 문제  해결 능력입니다. 자소서나 면접에서 필수적으로 질문합니다. 

 

자신의 문제 해결 능력을 어떻게 설명하시겠습니까? 실제로 어려움을 극복한 사례는 다 갖고 계실 겁니다.  피드백은 가장 중요한 문제 해결 능력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자기 성찰, 자기 반성 또한 그렇지요. 

 

그것을 어떻게 인상 깊게 전달 할 것인지, 다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Feedback이 아닌 Feedforward

 

1. 피드백

 

피드백 (Feedback)하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조금은 부정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나요? 특히나 상대방의 잘못이나 실수를 지적하는 것으로 여길 수 있습니다. 또한 잘한 일에 대해 언급한다는 것은 낯이 간지러운 것으로도 여깁니다. 그럴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기업들은 유기적인, 상시적인 피드백 문화 확산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건전한 조직 문화 형성에도 필수적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문제 해결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배려보다는 상호 피드백이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도 객관적으로 나와 상대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상호 의견을 조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1. 칭찬 피드백

 

한국 문화에서는 칭찬 피드백을 주는 것도 삼가합니다. 뭐 굳이 말로 하느냐,라는 문화도 있습니다. 그러나 누구나 칭찬받는 것을 좋아합니다. 조직의 소속감을 향상시키고, 각자의 자존감과 효능감을 향상합니다. 팁을 알려드릴게요. 

칭찬 피드백을 잘 하기 위해서는 1) 관찰을 해야 합니다. 칭찬 거리를 항상 찾아야 합니다. 2) 그때그때 바로 해야 합니다. 3) 결과나 성과보다는 과정을 칭찬해야 합니다. 결과에 대한 칭찬은 조건부 칭찬입니다. 태도나 노력을 칭찬하고 북돋아 주어야 합니다.

 

1.2. 개선 피드백

개선 피드백이란 상대방이 고쳐야 하는 부분을 말해주는 것입니다. 칭찬 피드백도 꺼리는데, 개선을 요구하는 피드백은 더더욱 안 하게 됩니다. 그러나 누군가가 객관적으로 말해주지 않으면, 누구도 자기 자신을 바라볼 수 없습니다. 이를 위한 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비난이 아닌, 아끼는 마음으로 임해야 합니다. 2) 올바른 방향으로 역량 개발을 위해 해야 합니다. 정확하게 어떤 부분을 개선해야 하고, 개발해야 할 역량은 무엇인지 알게 해야 합니다. 3) 이를 위해서는 관찰해야 하고, 정확하게 문제를 말해야 합니다. 4) 이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지시가 아니라, 스스로 개선책을 수립 및 실천하도록 촉진하는 것입니다.  

 

 

2. 피드 포워드

 

피드백은 (Feedback)은 지난 일에 대해 말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피드백의 목적은 과거가 아니라, 미래 지향적입니다. 좋은 피드백은 과거가 아닌 미래에 중점을 둔 Feedforward가 되어야 합니다. 피드백은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기 위한 가장 중요한 것입니다. 칭찬과 격려를 통한 보유 역량을 유지 발전 시킬 수 있습니다.  과거에 대한 지적이 아니라, 현재 보유한 역량의 강화, 개발해야 하는 역량, 등을 대화를 통해 스스로 실천하도록 유도하는 것입니다. 

 

 

피드백을 통해 학호나 모임을 활성화 했던 기억을 떠올려보세요. "침묵은 배려가 아니며, 진정한 배려는 상호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솔직하고 진정성 있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그것도 피드백이 아닌, 피드 포워드를..."  이렇게 말씀해 보세요.

 

 

 

3. 인간이 달에 간 이유

 

인간이 달에 간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이유는 "달에서 지구를 바라보기 위함"이었다고 합니다. 자신을 객관적으로 보기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통해 비로소 자신을 알 수 있고, 발전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스스로 답을 찾다 보면 문제의 객관화가 힘듭니다. 객관화하기 위해서는 타인의 시선으로 문제를 바라보아야 합니다. 그러면 답이 나타납니다. 해결책은 이미 자신에게 있었던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