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한 줄6 <시 한 줄 6> 선잠, 연년생 : 우리가 함께 장마를 볼 수도 있겠습니다 -박준 시인 만약에 박준 시인이 누구인지 알지 못하고 그의 시집을 읽는다면 거의 모든 독자들은 말하리라. 그는 여성 시인이라고. 그는 섬세하다. 그는 시인답게 모든 사람과 사물을 관찰한다. 그리고 찰나의 아름다음과 슬픔을 시로 엮어낸다. 그렇기에 이 난해한 시의 세계에서 그는 문학성과 사업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보기 드문 시인이 되었는지도 모른다. 그는 '우리'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한다. 그의 시의 세계에 우리를 초대하는 단어이다. 시인만의 고립된 세계가 아닌, 우리에게 개방된 시의 세계로 우리에게 초대장을 보내는 것이다. 공유하며, 고개 끄덕이게 하는, 시인의 정서가 전달되는 시는 이 어려운 시 (詩)의 환경에서 더욱더 밝게 빛난다. 선잠 그해 우리는서로의 섣부름이었습니다 같은 음식을 먹고함께 마주하던 졸.. 2025. 4. 30. <시 한줄 5> 누군가의 그 말, 천 양희: 사랑하는 사람의 심장 무게는? 두근 두근, 사랑하는 사람의 심장 무게가 얼마나 되는지 아시나요? 천양희 시인은 바로 두근두근 합해서 네근이라고 했습니다. 뭐, 꼭 네 근만이겠습니까? 퀴즈 하나 낼까요?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한 장기의 무게는 얼마나 될까요? 모르시겠다고요?정답은 바로 2Kg입니다. 그것은 뇌와 심장의 무게의 합입니다. 바로 이성과 감성의 합일 수도 있습니다. 누군가의 그 말 -천양희 사랑하는 사람의 심장무게가 얼마나 되는지 알아요?두근 두근 합해서 네근이랍니다 여러분을 만나러 오는내 마음이 그랬습니다 누군가의 그 말이내 심장을 쳤습니다언젠가 여러분을 만날 때나도 그 말 꼭 빌려 써야겠습니다 덜 소유하고 많이 존재하라던당신 덕분에 세상이 조금.. 2025. 4. 29. <시 한줄 4> 아버지의 등을 밀며 -손택수, 징하도록 애절한 사부곡 (思父曲) 어머니와는 달리 아버지에 대한 시는 좀처럼 찾기 힘들다. 손택수 시인은 시집 에서 쓰러진 아비가 입원한 병원에서 비로소 아버지의 등에 새겨진 지게자국을 보게 된다. 그 아버지의 모습은 이 아니던가. 손택수 시인의 눈은 항상 그렁그렁하다. 아버지의 등을 밀며 아버지는 단 한 번도 아들을 데리고 목욕탕엘 가지 않았다여덟 살 무렵까지 나는 할 수 없이누이들과 함께 어머니 손을 잡고 여탕에 들어가야 했다누가 물으면 어머니가 미리 일러준 대로다섯 살이라고 거짓말을 하곤 했는데언젠가.. 2025. 4. 28. "야 너두 할 수 있어! 너에게만 알려줄께!!" 알고보면 누구나 할 수 있는 텍스트 힙, 멋진 독서 비법의 모든 것 최근 독서 트렌드에서 ‘Text Hip’이라는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MZ세대에게 책을 읽는 것이 힙 (hip) 한 것으로 여겨진다는 것은 무척이나 바람직하다. 텍스트힙을 이렇게 설명한다. 단순히 책을 많이 읽는 것을 넘어, '시대적 감각을 반영하고 문화적 흐름을 이해하는 방식으로 독서를 즐기는 것'이라고. 과거에는 독서의 목적은 단순한 지식 습득이었지만, 오늘날의 독서는 사회적 이슈와 개인적 성장, 감성을 자극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독서가 좋은 것은 누구나 잘 알고 있다. 그러나 막상 책을 손에 잡는 것은 녹록지가 않다. 현대인에게는 너무나도 흥미롭고 재미있는 것이 많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책 그리고 독서는 인간의 배움에 기본이라고 여겨져 왔다. 어떻게 하면 텍스트힙, 즉 책을 읽는 맛을.. 2025. 3. 31. 혐오 감정과 공존: 인간 사회를 위한 성찰 (우리는 왜 혐오하는가?) 목차혐오 감정에 대한 일반론적 정의혐오의 심리혐오의 근본적 심리와 기원두려움과 공포에 의한 혐오혐오 감정 순화를 위한 노력혐오에서 공존으로: 함께 살아가는 길 1. 혐오 감정에 대한 일반론적 정의 혐오 감정은 인간이 불쾌함이나 거부감을 느낄 때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감정이다. 이는 생리적, 심리적 반응을 동반하며, 개인과 집단의 행동을 크게 좌우한다. 진화적으로 보면, 혐오는 위험한 요소를 피하려는 본능에서 비롯되었으며, 생존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단순한 생리적 반응을 넘어 사회적 편견과 차별을 조장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2. 혐오의 심리 혐오는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복합적인 심리적 기제에 의해 형성된다. 심리학적으로 혐오 감정은 ‘내집단(In-group)’과 ‘외집단(O.. 2025. 3. 20. 공부란 무엇인가? 인간을 성장시키는 위대한 작업, (feat. 마오쩌둥의 사다 공부법) 목차공부(工夫)라는 한자의 기원공부란 무엇인가?공부와 학문의 차이모자람을 깨닫게 하는 독서와 공부마오쩌둥의 사다(四多) 공부법마음 공부의 중요성결론: 공부란 궁금해서 하는 인간의 위대한 작업 1. 공부(工夫)라는 한자의 기원 ‘공부(工夫)’라는 단어는 한자로 ‘공(工)’과 ‘부(夫)’로 이루어져 있다. ‘공(工)’은 장인이 정성을 다해 작업하는 모습을 의미하며, ‘부(夫)’는 성인 남성이나 큰 힘을 뜻한다. 즉, 공부란 꾸준한 노력과 시간을 들여 깊이 있는 지식을 쌓는 과정을 의미한다. 원래 중국에서 ‘공부’는 특정 기술을 익히는 데 필요한 노력을 뜻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학문을 닦는 행위를 포괄하는 의미로 확장되었다. 2. 공부란 무엇인가? 공부란 단순히 교과서를 외우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이해하고.. 2025. 3. 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