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번 말씀드리지만, 신념과 좌우명, 그리고 가치관은 신입 사원 선발에 높은 비중으로 작용합니다.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알고 싶어"라는 질문에 어떻게 답하시겠습니까. MBTI를 말하시겠습니까? 그럼 뭐라고 하실 건가요?
자소서의 단골 질문이 있습니다.
"본인이 힘들었거나 실패를 어떻게 극복했는가?" 또는
"실패로부터 배운 교훈은 무엇인가?"입니다.
이 질문은 '실패'와 '좌절'의 극복, 그리고 어떻게 회복 탄력성을 갖추었는가?, 를 묻는 것입니다.
이번 자소서 신념과 좌우명의 주제는 실패와 좌절입니다.
자신이 좌절했거나 실패한 에피소드는 누구나 있을 겁니다. 그러한 힘든 경험을 통해 우리는 교훈 (Lesson learned)를 배우게 되지요. 그것을 표현할 자소서 주제어 그리고 자소서 소제목은 고르기 힘이 듭니다. 그렇다고 흔한 명문장은 식상하기도 하고요.
1. “실패하더라도 실망은 하지 않습니다”
이 문장은 어떠신가요? 실패와 실망의 운율도 좋습니다. 이렇게 시작하셔도 좋습니다.
실망이란 기댓값에 못 미쳤을 때의 감정입니다, 자신의 감정을 다스리지 못하는 것이지요.
그러나 실패는 다른 감정입니다. '실패했다'라고 하지요. 그러나 우리가 방점을 찍어야 할 것은 '실패'가 아닌 '했다'입니다. 망설이지 않고 시도를 했으며, 그 시도에서 무언가는 배우고 익혔다는 것입니다. 후회도 하게 됩니다. 후회는 더 나은 결과가 가능했었음을 깨닫는 감정입니다. 마치 징비록을 쓰는 것과 같습니다. 오늘의 후회를 뼈저리게 즐깁니다. 후회하는 삶만이 삶을 계획해 앞날의 또 다른 삶을 기약할 수 있습니다. 후회는 미래를 위한 교정과 교훈을 남겨주기 때문입니다.
2. 인간은 패배하도록 만들어지지 않았다
"인간은 패배하도록 만들어지지 않았다 (Man is not made for defeat)"는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 중에 나오는 문구입니다. 어부인 산티아고는 청새치를 잡느라고 사트를 벌입니다. 그러나 상어들의 공격으로 청새치는 뼈만 남게 됩니다. 인간을 창조한 신은 인간을 패배하도록 창조하지는 않았을 겁니다. 인간의 의지만 있다면 패배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실패를 이길 수 있는 의지와 힘 또한 부여하지 않았을까요? 또한 이런 말도 있습니다. "신은 인간이 견딜 수 있을 정도의 시련만 준다"라고. 이 말은 곱씹어 읽어야 합니다. 시련이 없는 것이 아니라, 시련은 반드시 있으며, 견뎌야 한다는 것이지요. 그 시련과 고통은 견딜만하다는 것입니다. 중도에 견디지 못한 이들만이 포기를 할 것이라는 은유의 표현이기도 합니다. 여러분들은 어떠하셨나요?
- 저자
- 어니스트 헤밍웨이
- 출판
- 민음사
- 출판일
- 2012.01.02
3. 넘어진 것은 당신 잘못이 아니다. 하지만 일어서지 않는 것이야 말로 당신의 잘못이다
"넘어진 것은 당신 잘못이 아니다. 하지만 일어서지 않는 것이야 말로 당신의 잘못이다" 이 말은 영국의 축구 감독이었던 스티브 데이비스의 말입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우리는 넘어질 수 있습니다. 그것은 누구의 잘못도 아닙니다. 그러나 스스로 일어서지 않는 것은 그 누구의 잘못도 아닌 바로 나의 잘못인 것입니다. 누구나 넘어질 수 있고, 누구나 실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누구나 그 시련을 극복하고 다시 서는 것은 아닙니다. 다시 일어서는 자만이 새롭게 시작할 수 있는 것이지요.
넘어질 수 있습니다. 돌에 걸리거나 문턱에 걸려 넘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돌을 문턱을 탓해서는 안 됩니다. 넘어진 것의 진정한 의미는 다시 일어나라는 명령이라고 생각합니다. 어쩜 잠시 쉬라는 명령일 수도 있습니다. 다시 일어나 툭툭 털고 껄껄 웃으며 걸어가겠습니다. 참, 멋진 문장입니다.
여러분이 자소서나 면접에서 꼭 활용해 보세요. "이런 실패와 좌절을 겪었습니다. 그러나 깨달았습니다. 다시 일어서는 것은 오롯이 저의 몫이고 제가 해야 할 과제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 시련을 훌훌 털어내고 다시 도전하게 되었습니다."
4. 신은 우리가 성공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다만 우리가 노력할 것을 요구할 뿐이다.
현대의 성인인 마더 테레사 수녀의 말씀입니다. “신은 우리가 성공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다만 우리가 노력할 것을 요구할 뿐이다. (God doesn't requires us to succeed; he only requires that you try). 3번의 문장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우리가 진정 해야하는 과제는 성공이 아니라 노력하는 것이며, 결과가 아닌 과정에 얼마나 충실히 임하느냐에 달렸다는 말씀이 아닐까요? 결과만을 바라보면 급해집니다. 자신의 페이스를 잃어버릴 수 있습니다. 노력하는 사람은 그 누구도 이길 수 없습니다. 노력만이 성공의 열매를 얻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아닐까요?
5. 의식주, 생각의 주인
'의식주'하면 뭐가 떠오르시나요? 입고 먹고 사는 곳, 즉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인 3 가지를 말합니다. 저는 또 다른 의식주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보통 아는 의식주는 생존을 위한 것이라면, 제가 주장하는 의식주는 실존을 위한 것입니다. 바로 '생각의 주인'을 뜻하는 의식주 (意識主)가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주체적인 생각, 주체적인 사고, 주체적인 행동과 태도, 이것이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고, 차별화하는 것이며, 그것이 진정 경쟁력이라고 생각합니다.
'멘붕이란 말이 유행입니다. 그러나 진정 걱정해야 하는 것은, 마음이 아닌 사고의 불균형입니다. 이로 인해 편향과 차별과 혐오가 생산됩니다. 우리가 걱정해야 하는 것은 ‘밸런스 붕괴’입니다. 저는 이것을 ‘밸붕’이라고 부릅니다.
#자소서핵심키워드 #자소서활용주제어 #자소서활용소제목 #실패 #좌절 #자소서신념 #자소서좌우명 #자소서가치관 #의식주 #생각의주인 #노력 #인간은패하도록만들어지지않았다 #실패하더라도실망은하지않습니다
'누구도 가르쳐 주지 않는 자소서 핵심 키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금융 RM의 역할은? 자소서와 면접에 활용하세요. 반드시 질문 나옵니다. 핵심 키워드, 핵심 소제목으로 활용하기 (1) | 2025.04.09 |
---|---|
신념과 좌우명을 주제로 활용 가능한 자소서 핵심 키워드 ④ (3) | 2025.04.07 |
신념과 좌우명, 가치관 주제, 자소서에 활용 가능한 핵심 키워드, 자소서 소제목, (0) | 2025.04.03 |
황금률과 백금률, 자소서에 활용하기 좋은 핵심 키워드, 핵심어, 자소서 소제목 및 핵심 맥락, "고객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가?" 상대방이 원하는 것을 행하라, 백금률의 비밀 (0) | 2025.03.31 |
<당신의 업무 처리 스타일은?> 자소서에 활용하기 좋은 핵심 키워드, 내가 할 수 있는 일, 신중함, 그리고 노력 (0)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