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글맛 글멋 나는 자소서를 지향합니다
은행 면접에 나올만한 금융 지식

시중은행의 한계와 극복 방안: 시중은행장은 밤잠을 설치며 어떤 고민을 하고 있을까?

by 글맛글멋 2025. 4. 24.
반응형

 

시중은행장은 밤잠을 설치며 고민에 빠져 있다. 매년 최고의 수익을 기록하고 있는 작금의 상황에서는 샴페인을 터트리며 파티를 해야 하는데 그들은 심한 고민에 빠져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아직도 국내에서 90% 이상의 수익을 내고 있는 우물 안 개구리이며, 수익 구조 또한 90%가 이자 수익이며, 글로벌 투자은행과의 경쟁은 이제 걸음마를 배운 아기의 수준이다. 그러니 그들의 머리는 희게 세고 고민은 깊어질 수밖에 없다. 

 

밤잠 설치며 고민하는 한국 시중 은행장

 


1. 내외부 환경 분석


(1) 외부 환경

금리 변동성 확대

미국 연준(Fed)의 금리 정책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조정에 따라 은행의 수익성이 변동

핀테크·빅테크 경쟁 심화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과 네이버·카카오·애플 등 빅테크 기업의 금융업 진출로 경쟁 가속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금융 확산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지속 가능성(ESG) 요구가 강화됨에 따라, 친환경 투자 및 ESG 리스크 관리 필요

글로벌 경제 둔화

중국 경기 둔화, 미·중 무역 갈등 등으로 인한 경기 불확실성 증가


(2) 내부 환경

 

전통 금융 모델의 변화

비대면·모바일 금융 서비스 강화, 점포 축소 및 디지털 전환 가속화

리스크 관리 필요성 증가

부동산 PF(Project Financing) 대출 부실화 우려,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리스크 확대

고객 니즈 변화

MZ세대 (밀레니얼·Z세대) 중심으로 금융 소비 패턴 변화, 맞춤형·개인화 서비스 요구 증가

글로벌 시장 진출 한계

해외 점포 및 글로벌 네트워크 부족

2. 제도적 제한


금융 규제 강화:금융당국의 대출 규제 및 금융소비자 보호법 강화로 인해 대출 영업 확대 어려움

낮은 해외 진출 자유도:국내 금융사들의 해외 인수·합병(M&A) 규제가 엄격해 글로벌 확장이 어려움

빅테크와의 공정 경쟁 이슈:네이버·카카오·애플 등 빅테크 기업들은 금융 규제를 덜 받는 반면, 전통 은행들은 엄격한 규제를 받음


3. 기회 요인


디지털 금융 혁신:AI, 블록체인, 빅데이터를 활용한 초개인화 금융 서비스 강화 가능

해외 시장 개척:동남아시아, 인도, 중남미 등 고성장 시장을 중심으로 글로벌 사업 확장 가능

ESG·임팩트 금융 확대: 친환경·사회적 책임 금융 상품을 개발하여 지속 가능한 금융 모델 구축

디지털 자산·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 활성화:가상자산 및 CBDC 관련 금융 서비스 개발 가능

4. 위기 요인


가계부채 리스크 증가:한국의 가계부채 규모가 GDP 대비 높은 수준으로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협

핀테크·빅테크와의 경쟁 심화:토스·카카오뱅크 등 디지털 금융사의 시장 점유율 증가

금리 인하 시 순이자마진(NIM) 감소:금리가 낮아지면 은행의 수익성 악화 가능

사이버 보안 위협 증가: 금융 데이터 유출, 해킹 등 보안 위협 증가

 


5. 글로벌 은행이 되기 위한 역량 강화 방안


해외 시장 확대: 동남아·중남미·아프리카 등 신흥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해외 M&A 추진

디지털 금융 혁신: AI 기반 초개인화 금융, 블록체인 기반 결제 시스템, 디지털 자산 관리 서비스 개발

핀테크·빅테크 협업 강화: 스타트업·빅테크와 협력하여 금융 혁신 주도

ESG 금융 리더십 확보: 친환경 금융 상품 출시, 탄소중립 투자 확대

리스크 관리 강화: 부동산 PF 대출 리스크 조정, 사이버 보안 강화

이와 같은 전략을 통해 한국 시중은행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금융기관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6. 주요 과제별 해결 방안


1) 이자 수익 편중 (Interest Income Dependency)
한국 은행들은 순이자마진(NIM, Net Interest Margin) 중심의 수익 구조를 가지고 있어 금리 변동성에 크게 영향을 받음. 글로벌 투자은행(IB)이나 CIB(기업·투자은행)처럼 비이자수익(Non-Interest Income) 비중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

✅ 해결 방안: 자본시장, 자산운용, M&A 자문, 글로벌 트레이딩 등 비이자수익 사업 확대

2) 대출 의존도 과다 (Excessive Loan Dependency)
대출(특히 부동산 및 가계대출)에 의존한 수익 구조로 인해 가계부채 및 부동산 PF 대출 리스크에 취약
기업금융(CIB), 글로벌 IB, 대체투자 등으로 포트폴리오 다각화 필요

✅ 해결 방안: 대출 중심에서 금융투자, 자산운용, IB 등의 수익 다변화 추진

3) 수수료 수익 부족 (Weak Fee-Based Revenue)
선진 금융사들은 자산관리(WM), IB, 트레이딩, M&A 자문 등 수수료 수익(Fee-based Revenue) 비중이 높음
시중은행은 여전히 대출·예금 중심이라 수수료 기반 사업이 취약

✅ 해결 방안:

프라이빗 뱅킹(PB), 글로벌 자산관리(WM), M&A 자문 확대
카드·보험·증권과의 협업을 통해 금융 상품 다양화

4) RWA의 효과적 관리 (Efficient RWA Management)
RWA(Risk-Weighted Assets, 위험가중자산) 관리가 글로벌 금융 경쟁력에서 중요한 요소
단순히 대출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자본 효율성이 높은 금융상품으로 포트폴리오를 조정해야 함

✅ 해결 방안:

신용 리스크 조정, 대출 자산을 유동화하여 자본 부담 완화
IB, 자산운용, 대체투자(PE, VC) 등 저(低) RWA 사업 확대

5) Global Network 부족
아시아(특히 동남아) 중심의 해외 진출에 집중되어 있으며, 북미·유럽·중동·아프리카 등의 네트워크는 부족
일본의 미쓰비시UFJ, 유럽의 HSBC처럼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가 필요

✅ 해결 방안:

적극적인 해외 M&A 및 JV(합작법인) 설립
글로벌 IB, 해외 CIB 시장 개척

6) 선진 금융 상품 개발 (Investment Banking & CIB)
소매 금융 중심이며, 선진 금융시장처럼 고도화된 IB(Investment Banking) 역량이 부족
대체투자(PE, REITs), 구조화 금융(Structured Finance), 자산유동화(ABS) 등 글로벌 수준의 금융상품 개발 필요

✅ 해결 방안:

기업 대상 M&A 자문, 채권 인수(DCM), 주식인수(ECM), 헤지펀드 운용 강화
글로벌 IB(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처럼 IB 특화 조직 육성

7) 금융 계열사 협업 강화
은행, 증권, 카드, 보험 등이 각각 독립적인 조직으로 운영되면서 시너지 부족
글로벌 금융사(예: JP모건, HSBC)는 은행·증권·자산운용·보험이 유기적으로 협업

✅ 해결 방안:

은행-증권-자산운용 간 WM(Wealth Management) 통합 플랫폼 구축
데이터 공유 및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강화

8) Mind-set 변화 (은행원의 사고방식 전환)
기존의 보수적인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글로벌 트렌드(디지털, ESG, 핀테크 협업 등)에 대한 개방적인 태도가 필요
적극적인 **리스크 테이킹(Risk Taking)**과 혁신 문화 구축이 중요

✅ 해결 방안:
은행원 대상 글로벌 금융 트레이닝 및 디지털 교육 강화
해외 IB 및 핀테크 기업과의 교류 활성화

9) 연공서열 문화 타파 (Hierarchy Overhaul)
여전히 연공서열 중심의 승진·보상 구조가 존재하여 유능한 젊은 인재들의 혁신과 도전이 어려움
글로벌 금융사들은 **성과 기반 보상(performance-based compensation)**과 수평적 조직문화를 적용

✅ 해결 방안:

성과 중심의 보상 체계(Bonus & Incentive) 도입
글로벌 금융사처럼 젊은 인재들에게 중요한 의사결정 권한 부여

 


🔥 결론: 한국 시중은행이 글로벌 금융사가 되려면?


비이자수익 확대: 투자은행(IB), 자산관리(WM), M&A 자문 등 활성화
RWA 최적화: 위험가중자산(RWA)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수익성 개선
글로벌 진출 가속화: 동남아 외에도 북미·유럽·중동 시장 개척
조직 문화 혁신: 연공서열 철폐, 성과 중심 보상체계 도입
디지털·핀테크 협업: 기존 은행 모델을 뛰어넘는 디지털 금융 혁신

#시중은행장의고민 #시중은행위기요인 #시중은행기회요인 


>